🏁 IT & Product/⌨️ Programming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K8s/Cloud] Kubernetes 쿠버네티스 용어 및 개념 정리 쿠버네티스 용어 및 개념 정리 ✔️ 쿠버네티스란?컨테이너 관리도구, 즉,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솔루션 *오케스트레이션 : 복잡한 단계를 관리하고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미리 정의해 손쉽게 사용다호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 다수의 컨테이너를 유기적으로 연결, 실핼 종료할 뿐 아니라 상태를 추적하고 보존하는 등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 ✔️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 클러스터(Cluster)클러스터는 워커 노드(Worker Node)와 마스터 노드(Master Node)로 구성되어있다.각 노드는 물리 서버일 수도 있고, 가상 서버일 수도 있다. → 이것들이 묶여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가 된다. ✅ 노드(Node)마스터노드(Master.. [K8s/Cloud] Kubernetes 쿠버네티스 개요 쿠버네티스 등장 배경 쿠버네티스의 등장, VM과 컨테이너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 쿠버네티스를 왜 사용하는가?대규모의 서비스를 운영할 때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비용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상화기술을 사용한다. # 쿠버네티스의 등장 가상화된 배포 시대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VM)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가상화를 사용하면VM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없고 그렇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음 → 애플리케이션간 격리로 보안성 제공가상화를 사용하면 물리 서버에서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쉽게 애플리케이.. OData란? Odata (Open Data Protocol) 📍 OData(Open Data Protocol)란? OData (Open Data Protocol)은 Microsoft가 개발한 REST 기반의 데이터 액세스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쿼리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 OData는 RESTful API 원칙에 따라 작동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용이하게 합니다. OData의 주요 개념 및 특징RESTful 원칙 준수HTTP를 기반으로 하며, CRUD 작업은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로 수행됩니다.표준화된 데이터 쿼리클라이언트는 URL에 직접 쿼리 매개변수를 추가해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예: https://exa.. IPMI / BMC 란? 액세스 방법과 서버에서의 역할 IPMI와 BMC의 뜻, 정의 IPMI (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는 하드웨어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일련의 사양입니다. 간단히 말해 IPMI의 도움을 받아 하드웨어 액세스, 모니터링, 부팅, 로그 종료 또는 유지 관리와 같은 서버에서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IPMI는 마더 보드와 함께 설치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IPMI가 작동하기 위해 서버를 켤 필요는 없습니다. 전원 공급 장치가 서버에 연결되 전에도 IPMI는 동작이 가능합니다. 마더 보드에 부착된 IPMI는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별도의 카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IPMI와 연관된 하드웨어를 BMC(Baseboard Manag.. [ IT 용어 ]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 IT 용어 ]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웹에서 쿠키와 세션아래에 서술한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게 되었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 비연결 지향(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가 요청(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적절한 응답(Response)를 주고 바로 연결(Connection)을 끊는 특징- HTTP가 TCP위에서 구현되었기 때문에(TCP는 연결지향, UDP는 비연결지향) 연결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어 논란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keep-alive는 옵션으로 두고, 서버측에서 비연결지향적인 특성으로 커넥션 관리에 대한 비용을 줄이는 것이 명확한 장점으로 .. [Figma] 디자인하다 궁금한 점 CPU 점유율 치솟는 현상? 기기정보 : iMac 27" Intel i5 / Mac OS Ventura 13.0.1 1. Figma Web 편집 시 CPU 점유율이 치솟음 피그마 웹페이지 작업 시 페이지를 열었을 경우 CPU 점유율이 급상승하는 현상 작업 화면도 줌인아웃 시 렉이 걸리고 그래픽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왜 이렇지? 편집 화면을 닫았더니 CPU사용량이 떨어진다. 아래는 평소 사용중인 경우 대충 20%~30% 정도를 오가는 편. 1-2. Figma Mac 클라이언트에서 편집하면 CPU 사용량이 안정적임. 맥용 클라이언트로 실행한 경우에는 안정적인 편 2. 동일 기기에서 Sketch로 디자인 파일 작업을 해보았다. 비교를 위해 Sketch에서 다른 작업파일을 열어보았다. 파일 열기 중에만 4.. [ IT 용어 ] 동기화 vs 비동기화 자바와 자바스크립트에서 동기화와 비동기화의 차이 동기 (Synchronized) 비동기 (Asynchronized) 어느 메소드가 실행하는 동안 다른 메소드 실행이 불가능하도록 블락하는 것을 의미 어느 메소드를 실행하는 도중에도 다시 메소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 Java 1. 수신자데이터 ↔ 송신자 데이터 2. 송신자데이터 ↔ 수신자 데이터 수신자가 어떤 데이터를 보낼 지 예상한 상태여야 가능 1. 수신자 데이터 → 수신자의 반응 2. 송신자의 답변 → 진행 즉, 수신자가 어떤 데이터를 보낼 지 예상 못하는 상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음 시스템의 일치가 필요(쉽지만 비쌈) 시스템의 일치가 필요하지 않음(어렵지만 싸다) 수신.. 프로토타이핑에서의 Lo-fi vs hi-fi Low-fidelity vs high-fidelity Prototyping Fidelity는 설계의 충실도(혹은 정확도)를 의미하며 프로토타입에 포함된 디테일과 기능의 수준을 나타냅니다. Fidelity는 인터랙션, 비주얼, 컨텐츠 및 명령 등 기타 영역에서 다양할 수 있습니다. 우선 프로토타이핑은 아래 4가지정도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러프 스케치 스케치 화면 설계 관점: 와어어프레임(낮은 수준/중간/높은 수준의 화면 설계) 상호 작용 관점: 프로토타이핑(낮은 수준/중간/높은 수준) 더블 다이아몬드 방식으로 보면 첫번째 그림에는, 1. 러프 스케치, 2. 스케치, 3. 상황에 따라 와이어프레임(낮은 수준) > 아직 퍼소나 UX 컨셉, 방향성 도출되지 않은 단계에서는 와이어프레임보다는 스케치의 수준으로 .. [ IT 용어 ] 스냅샷과 백업의 차이 스냅샷과 백업의 차이점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은 데이터의 가용성과 무결성 유지를 내세웁니다. 그만큼 기업에서의 데이터 보호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보호와 관련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냅샷'과 '백업'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업 vs 스냅샷 백업 :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해 다른 곳에 저장하기때문에 스토리지 상에 동일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스냅샷 : 초기 생성 시 혹은 데이터 변경이 있기 전까지는 스토리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메타데이터의 복사본에 해당하여 생성시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장애가 발행해도 빠르게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 종속성 스냅샷과 백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원본 데이터의 종속성’입니다. 스냅샷은 원본의 완벽한 복사본이 아니기 때문에 .. [ IT 용어 ] 스냅샷(Snapshot) 이란? 클라우드에서의 스냅샷 사용 방식 기업에서는 데이터 보호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IT관리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복구와 백업 시나리오를 염두해야합니다. 클라우드사용시에도 마찬가지인데요. 예기치 않은 데이터 사고 발생 시 빠른 데이터 복구 대응방안으로 많이 거론되는 클라우드 스냅샷의 정의와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냅샷(Snapshot) 이란? 사진을 찍듯이 특정 시간(시점)에 데이터 저장 장치(스토리지)의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 보관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그래서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면 유실된 데이터 복원과 일정 시점의 상태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Windows OS의 복원 지점과 같이 장애나 데이터 손상 시 스냅샷을 생성한 시점으로 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