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nspiration/🎈 티끌 모으기

전기차 캐즘(Chasm)? 캐즘의 뜻?

반응형

 

 

 

 

 

 

 

캐즘(Chasm)이란?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돼 대중들에게 소개된 뒤에 대중화되기까지 수요가 후퇴하거나 정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래는 지질학적 용어로 지각변동으로 인해 지층 사이에 큰 틈이나 협곡이 발생해 서로 단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1991년 실리콘밸리의 첨단기술 컨설턴트인 제프리 A 무어의 저서인 ‘크로싱 더 캐즘(Crossing the Chasm)’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쉽게 말해,
새로운 기술이 초기 시장에서 주류 시장으로 넘어갈 때 어려움을 겪는 시기를 말합니다.

 

 

 

 

캐즘은 어째서 생기는 걸까?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에 대해 수용주기가 고객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혁신가나 얼리어답터와 같이 신기술에 적극적인 사용자가 있는 반면에, 실질적인 이득이나 필요가 아니라면 굳이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가 대부분이다. 이 사이 신기술(또는 제품)에 대한 수용, 실용성에 대한 인지 등 간극에 의해 캐즘이 발생한다.

 

캐즘 현상은 주로 혁신기술이나 첨단제품이 나올 때 많이 겪게 된다.

처음 단계에서 혁신성을 중시하는 얼리어답터들(2.5%)이 초기 수요자 역할을 한다. 기술과 실용성이 검증되지 않은 단계다.

이후에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초기 수용자(13.5%)가 중심이 되는 주류시장으로 옮아간다. 이 때 첨단 기업은 초기시장과 주류시장 사이에서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정체되는 캐즘 현상을 겪게 된다. 캐즘 현상을 극복하면 기술의 혁신성이 검증되어 전기 다수 수용자(34%)와 후기 다수 수용자(34%)가 상품을 소비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나머지 16%는 지각 수용자다.

 

 

<단계별 소비자 성향>

  • Innovators 혁신가(이노베이터):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는 기술 애호가들이다. 
  • Early Adopters 얼리어답터: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일찍 투자할 의향이 있는 선구자들이다. 
  • Early Majority 전기 다수 이용자: 도입을 결정할 때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고, 도입하기 전에 검증된 혜택을 원하는 실용주의자이다. 
  • Late Majority 후기 다수 이용자: 제품의 가치가 입증된 후에야 채택하는 회의론자이다. 
  • Laggards 지각 수용자: 변화에 저항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도입하는 전통주의자이다.

 


 

캐즘에 빠졌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캐즘에 빠졌다고 생각할 때 이런저런 시도를 할 수 있지만, 언제 캐즘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 서로 다른 요구와 기대를 맞추자.
    얼리 어답터는 제품의 새롭고 잠재력에 동기를 부여받는 반면, 전기 다수 이용자는 신뢰성과 실용성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 즉,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와 이점이 명확하게 전달되어야한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시장에서 이전과는 다른 기준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시장 요구 사항에 응답하자.
    제품이 얼리 어답터에서 전기 다수로 전환함에 따라 확장성, 강력한 지원,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을 입증해야 한다. 초기 시장에서의 소비자들과 달리 보다 보수적인 성향의 소비자라는 것을 인지하고 이해한 결과를 토대로, 시장 요구사항을 고려해야한다.
  • 커뮤니케이션 격차를 좁히자.
    얼리 어답터에게 어필하는 메시지와 마케팅 전략이 초기 다수에게 공감을 얻지 못해 인지된 가치에 단절이 생길 수 있다. 새로운 시장에서는 초기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것돠는 다른 마케팅 전략, 가격 정책, 제품 디자인 등이 필요하다. 
 

 

 

캐즘에 빠진 사례는 뭐가 있을까? 

 

캐즘을 극복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MP3플레이어를 꼽을 수 있다.

알다시피 1990년대 후반 MP3 플레이어가 출시될 당시 시장의 주류는 CD플레이어였다. MP3플레이어는 당시 음악을 내려받아 담는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캐즘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MP3플레이어는 인터넷 발달과 함께 캐즘을 극복하고 급속도로 성장했다.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E-Book 역시 비슷한 과정을 겪었지만 극복하고 대중화 된 상품들이다.

 

다만,

캐즘을 뛰어넘지 못한 기술(제품)으로는 VR, AR, 롤러블 TV, 3D TV, 수소자동차, 세그웨이, 구글 글라스 등을 들 수 있을 것 같다.

 요즘의 전기차 시장 역시 캐즘 단계를 지나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주요 이유는 높은 가격, 긴 충전시간, 짧은 주행거리, 충전소 등 인프라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과연 전기차는 캐즘을 돌파할 수 있을까?

 

 

 

 

 

 

 

반응형